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장 건강 다이어트에 뛰어난 카무트 효소 효능

반응형

탄수화물을 잘 소화시켜서 몸속에 장 독소가 안 쌓이게 도와주고 다이어트에까지 도움을 주는 식품인 카무트 효소에 대해서 알아보고 카무트를 효소로 먹어야 되는 이유와 카무트 효소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카무트란?

카무트는 기원전 약 6천 년 전에 고대 이집트에서 경작되어 그 지역에서 주식으로 사용되었던 고대 곡물입니다. 이집트 파라오 중 한 명인 투탕카멘 옆에 보물들과 함께 있던 작은 볍씨를 한 식물학자가 캐나다로 가져와 직접 발아를 시켰더니 이 씨가 싹을 튀었다고 합니다. 

 

카무트는  피라미드에서 4,000년  동안 잠들어 있던 종자가 다시 깨어나서 싹을 튀었다고 해서 '왕의 밥' 또는 '왕의 곡식'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카무트
카무트

 

우리나라나 외국의 왕들은 아무거나 함부고 먹지 않고 건강에 좋고 맛있는 것만 먹었을 것 같은데 이 카무트를 '왕의 밥'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카무트에는 단백질과 아미노산 18종을 비롯해서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 식이섬유와 항산화 작용을 하는 카르티노이드 성분과 혈관 청소부라 불리는 불포화 지방산까지 무려 53종의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미국 타임스에선 카무트를 '건강한 식품 50가지'에 선정하기고 했으며,  우리나라 농촌진흥청에서도 '주목해야 할 10가지 고대 작물' 중 하나로 카무트를 선정하기도 했습니다.

 

◇ 카무트를 카무트 효소로 먹어야 되는 이유?

효소는 소화, 흡수, 분해, 배출 등 인체의 모든 신진대사에 관여를 해서 신체 기능을  원활하게 해 주고 영양분이 몸 곳곳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됩니다. 즉 우리가 섭취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효과적으로 대사 하도록 해서 에너지로 사용하게 하는 것입니다. 또한 염증을 막는 항균 작용과 면역을 관장하고 혈액을 정화해서 세포를 재생시키는 역할도 하게 됩니다. 이처럼 인간이 생명 활동을 하는 모든 역할에 관여하기 때문에 효소를 '생명의 불꽃'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효소는 우리 몸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데 안타깝게도 효소는 총량이 정해져 있어서 나이가 들수록 효소의 체내 보유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실제로 어린아이였을 때와 비교해서 노인이 되면 이 효소량이 약 30배가량 감소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부족한 효소를 섭취해서 채워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카무트 효소
카무트 효소

 

카무트 효소란 카무트 종자를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맞는 균주로 발효시켜 얻은 효소라고 보시면 됩니다. 카무트 효소는 카무트의 영양소를 고스란히 가지고  있으면서도 발효를 시켰기 때문에 체내에 소화 흡수율이 높고 체내에 영양분이 고루 흡수되도록 도와줍니다.

 

◇ 카무트 효소 효능 - 장 건강, 다이어트

주위에 다이어트를 하다가 변비에 걸리시는 분들을 참 많이 봤습니다. 변비에 걸리면 가스가 차고 이로 인해서 장에 독소가 많이 쌓이면 오히려 다이어트에 방해가 되는데 카무트 효소는 장을 건강하게 해 주니까 다이어트에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우리 몸 장 속에 유익균이 증가하면 비만의 원인인 유해균이 줄어들고 장이 건강해지면서 대장의 독소와 지방을 배출하는 데도 도움을 주어서 비만을 예방하는 게 효과적입니다.

반응형

카무트 효소가 지방을 흡착해서 다시 대사작용을 통해 배출하기 쉬운 형태로 바꾸어 준다고 보면 됩니다. 실제로 건강한 성인 30여 명에게 16주 동안 카무트를 섭취하게 했더니 체지방이 3.7%로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카무트 효능

 

카무트 효소를  충분히 섭취하면 음식물을 빠르게 분해해서 필요한 영양소는 몸속에 빠르게 흡수를 시키고 불필요한 것들은 빠르게 몸 밖으로 배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지방식단 시 카무트를 함께 섭취하면 카무트를 먹지 않았을 때보다 체중이 적게 증가하도록 돕게 됩니다. 실제로 고지방식으로 비만을 유도한 쥐에게 카무트 식빵을 투여하고 대조군과 비교를 해봤더니 체중 증가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방 조직 내에 지방 세포 크기가 감소한 걸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장 건강 - 카무트 효소
카무트 효소 효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