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영광 불갑사 상사화축제 9월 16일부터 시작

반응형

영광에서 가볼 만한 곳으로 영광 9경 중의 하나로 꼽히는 불갑사에는 단풍이 들기 전에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가을꽃 축제인 '영광 불갑산 상사화 축제'가 매년 9월 중순을 전후하여 열리는데 올해 2022년 영광  불갑사 상사화 축제는 9월 16일 금요일부터 시작한다고 합니다.

 

영광 상사화축제 안내

 

전남 영광 불갑산에는 매년 7월 중순 경에 진노랑상사화가 피기 시작하고 그 뒤로 붉노랑 상사화, 백양꽃 등이 차례대로 피어나고 9월 중순이 되면 전국 최대의 군락지를 가진 석산(꽃무릇)이 활짝 피어나 불갑산을 붉게 물들이면서 절정을 이룹니다. 

 

단풍보다도 먼저 산천을 물들이면서 우리를 가을로 데려가는 상사화(꽃무릇)때를 놓치면 다시는 보지 못하는 이 어여쁜 꽃을 부디 올해는 가을을 즐기면서 꽃구경을 해보세요. 상사화 속에서 잠시 쉬었다 가는 여유 있는 시간을 보냈으면 합니다.

 

제22회 영광 불갑산 상사화축제는 영광 불갑사 일원에서 2022년 9월 16일에 시작해서 9월 25일에 종료합니다.

영광 불갑산 상사화축제 시간은 오전 9시부터 ~ 저녁 8시이며, 이용요금은 무료입니다.

 

불갑사 상사화

 

반응형

 

이번 영광 불갑산 상사화축제는 '상사화 붉은 물결 청춘의 사랑을 꽃피우다'를 주제로 개최되는데, 상사화 꽃길을 걸으며 연인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프러포즈와 신나는 즐거움이 가득한 상사화 축제 상사화 주제관과 시화전, 상사화 사진을 뽐내는 전시행사, 상사화 예술제 및 소원성취 사랑의 연줄 드리우기 문화행사, 상사화 꽃 맵시 선발대회, 상사화 소원 등 달기의 참여행사, 주민자치 공연과 상사화 창극 등 사랑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무대행사와 가을밤의 정취를 느끼는 상사화 미디어 파사트까지 주민이 주도하는 명품 지역축제입니다.

 

영광 상사화축제

 

 

그 사이에 큰 더위도 물러가고 명절 추석도 지나고 나니 남쪽에서 꽃무릇 소식이 들려옵니다. 여름이 물러가고 가을이 오면 가을을 알리는 꽃무릇은 이름도 많답니다.'상사화'라고 부르기도 하고 꽃말이 '슬픈 사랑'이라서 '이별초'라고도 합니다.

한편에서는 일생을 홀로 고고하게 살아가는 스님들과 같다해서 '중무릇'이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상사화(꽃무릇)는 보고 싶어도 보지 못하고 사랑해도 만날 수 없는 그리움의 전설이 깃들어 있는 꽃이랍니다. 그래서 그런지 실제로도 평생 짝사랑만 하는 식물종에 들어간답니다. 보통 식물들은 입과 꽃이 한 몸인 것처럼 그렇게 피어나는데 상사화는 잎이 있을 때는 꽃이 없고 꽃이 있을 때는 잎이 없는 식물입니다. 그래서, 평생 만나지 못하니 '짝사랑만 하는 꽃'이다고 말합니다.

 

불갑사 상사화

 

 

전해 내려오는 상사화의 전설이 있습니다. 옛날에 오래도록 아이가 없어 고민이던 금슬 좋은 부부가 있었는데 간절히 빌어서 뒤늦게 외동딸을 하아 얻었는데 이 아이는 얼굴이 고울뿐만 아니라 부모에 대한 효성도 지극하였다 합니다. 그런데 어느 날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효심 지극한 딸은 아비의 극락왕생을 빌며 백일 동안 탑돌이를 했답니다.

그리고 그동안 이 절의 스님은 여인에게 연정을 품게 되었고 귀의한 몸으로 여인에게 고백이나 할 수 있었을까!

말 한마디 못한 채 끙끙대던 스님은 탑돌이를 마친 여인이 돌아가자 시름시름 앓다가 죽고 맙니다. 그리고, 이듬해 봄에 그 스님 무덤가에 어느 풀꽃이 돋았다고 합니다. 이 풀꽃이 푸른 잎과 붉은 꽃이 함께 피지 못하고 번갈아 나는 모습에 사람들은 '상사화'라는 이름을 붙여줬다고 합니다. 잎과 꽃이 서로 만나지 못하는 모습이 스님의 절절한 사랑과 닮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꽃무릇

 

 

상사화의 꽃말은 '이룰 수 없는 사랑'입니다.

 

▶ 상사화 종류 및 자생지 ◀

 

 

1. 진노랑상사화 - 불갑산, 내장산 자생

진노랑상사화

 

2. 붉노랑 상사화 - 불갑산, 변산, 강화도 등에서 자생

붉노랑상사화

 

3. 백양꽃 - 불갑산, 백양사, 거제도 등에서 자생

백양꽃

 

4. 위도상사화 - 위도, 불갑산에서 자생 

위도상사화

 

5. 상사화 - 불갑산, 내장산, 쌍계사에서 자생

상사화

 

6. 제주상사화 - 제주도, 불갑산에서 자생

제주상사화

 

7. 석산(꽃무릇) - 불갑산, 선운산, 쌍계사 등에서 자생

꽃무릇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