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으로 먹으면 안되는 음식과 채소

반응형

건강을 지키는 방법과 다이어트 방법으로 생식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모든 음식과 채소 등이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생으로 먹었을 때 독이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생으로 먹으면 안 되는 음식과 채소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생으로 먹으면 절대로 안 되는 음식과 채소 등

 

1. 가지

가지는 몸에 좋다는 대표적인 컬러 푸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지에는 솔라닌이라는 독성 알칼로이드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솔라닌의 독성은 신경계와 위장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고 생으로 가지를 먹으면 구토와 위경련, 현기증, 설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싹이 난 감자와 녹색으로 변한 감자

많은 분들은 감자의 싹에 독이 있다는 소리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감자는 햇빛에 노출되면 녹색으로 변하며, 솔라닌과 차코닌이라는 독성물질이 생성됩니다. 특히 감자의 싹과 껍질에 많다고 합니다. 감자의 초록 부분은 절대로 날 것으로 먹으면 안 됩니다.

 

 

3. 고사리

고사리에는 단백질의 일종인 타킬로사이드와 비타민 B1을 파괴하는 발암물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잘못 섭취하면 시력 저하가 오며 위암 발병률을 증가시킨다고 합니다. 그리고 생고사리를 먹은 소나 말 등이 방광암으로 폐사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4. 익지 않은 토마토

익지 않은 토마토 섭취 시 독성 물질인 솔라닌으로 인해 떫은맛이 나고, 먹은 후 메스껍거나 어지러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토마토 잎과 줄기에는 두통과 신경과민 위장 장애를 일으키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5. 일부 과일의 씨

수박이나 포도들을 먹을 때, 씨를 그냥 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과일들의 씨를 먹어도 되는 것은 아닙니다. 

 

 

사과, 복숭아, 매실, 체리, 살구씨 등에는 사이안화물이 포함되어 있어 씨를 씹으면 사이안화수고(청산)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 성분에 중독되면 불안, 두통, 현기증, 구토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고, 다량 섭취 시 혈압상승, 호흡곤란, 심장박동이나 신장장애로 사망할 수 있다고 합니다.

 

6. 일부 콩류

강낭콩은 메스꺼움을 초래하는 렙틴이라는 독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붉은 강낭콩에 든 독성분인 PHA는 살충제로 쓰이는 성분으로 생으로 5개만 먹어도 몸에 치명적일 수 있다고 합니다. 흰 제비콩과 라마콩 역시 생으로 먹으면 안 됩니다. 식중독을 유발하는 아미노산 청산글리코시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끓여 먹으면 독성분이 제거된다고 합니다.

 

7. 아몬드

아몬드는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고 비타민 E가 풍부해서 피부에 좋습니다. 단맛이 나는 계량종의 경우 생으로 먹어도 몸에는 상관이 없지만, 재래종은 시안화물(청산가리 계통) 계통의 독성 물질이 있다고 합니다. 마트에서 구매하는 대부분의 아몬드는 구운 아몬드입니다.

 

8. 은행

은행은 청산이라는 독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다량 섭취할 경우 설사나 마비 증세가 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은행 역시 꼭 조리해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9. 돼지고기

요즘 돼지고기는 사육 환경이 좋아져서 생으로 먹어도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생 돼지고기에는 인체에 위험한 선모충 등의 다양한 기생충이 있습니다. 선모충은 복통, 호흡 및 운동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죽음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10. 덜 익은 닭

닭을 먹을 때 가끔 핏기가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먹으면 안 됩니다. 최소한 섭씨 75도 이상에서 조리해야 합니다. 생닭에는 캠필로박터균과 살모넬라균 등 식중독 원인균이 있어 충분히 익히지 않은 닭을 먹으면 인체의 내장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