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빈대 물린자국 증상 및 예방 퇴치방법

반응형

한때 국내에서 사라졌던 빈대가 가정집은 물론 식당과 술집, 고시원, 찜집방에까지 전국 곳곳에서 출몰하면서 빈대 공포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래서 빈대에 물리면 물린 자국 및 증상, 예방, 토치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빈대

 

빈대 물린 자국 및 증상

사람 몸에 기생하지 않고 사람이 잘 때 흡혈을 하고 다시 서식지로 돌아가는 특성이 있는 빈대에  물리면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물린 자국이 빨갛게 붓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빈대에 물리면 모기보다는 상대적으로 물린 자리가 좀 크고 많은 양의 흡혈을 하기 위해서 여러 부위 혈관을 문다는 점에서 모기와 차이가 있는 물린 자국 증상이 나타납니다.

 

빈대는 많은 양의 흡혈을 위해서 주로 혈관을 찾는다든지 적절한 부위를 찾기 위해서 여러 부위를 옮겨 가면서 물기 때문에 물린 자국이 혈관을 따라서 길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아프거나 가렵지 않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가려움증을 유발하여 2차적 피부 감염을 일으킬 수 있고 드물게 아나필락시스를 일으킨다고 합니다.

 

※ 아나필락시스 :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

빈대에 물린 자국에 의해서 나타나는 가려운 증상은 일반적인 치료 없이 1~2주 내에서 회복이 가능하고 극심한 가려움과 2차 감염 예방을 위해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도포나 경구용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한다고 합니다.

 

빈대 증상

 

빈대에 물리면 제일 먼저 물린 부위를 깨끗한 흐르는 물과 비누로 씻는 것이 제일 중요하고 증상이나 잠복기는 사람에 따라 다르므로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면 의사나 약사에게 문의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빈대 퇴치를 위한 방제 방법

 

빈대는 사람이 장시간 머무르는 침대 등에서 서식하면서 야간 수면 중에 있는 사람을 흡혈하므로 수면 중에 갑자기 간지럽거나 빈대에 노출된 기분이 들면 침대 모서리나 매트리스 사이를 집중적으로 확인하고 베개나 이불의 시접 부위에 빈대 사체나 허물이 있는지 확인하고 소파난 창틀, 카펫 등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반응형

빈대를 발견하면 제일 먼저 빈대 퇴치를 위하여 스팀 고열로 빈대가 서식하기 쉬운 가구 틈과 벽 틈사이에 분사하여 방제하여야 하고 카펫은 살충제 처리 전에 스팀 청소를 해 주는 것이 좋으며 벽에 맞닿아 있는 침대는  반드시 방제해야 합니다.

 

강한 청소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침대나 침대 내부 및 매트리스, 가구, 벽지, 책, 소파 증 오염되었다고 생각되는 모든 장소의 빈대의 알이나 성충을 포함하여 제거하고 진공 청소를 끝낸 후에는 내용물을 비닐봉지 등에 꼼꼼하게 밀봉하여 제거하셔야 됩니다.

 

의류나 커튼, 침대 커버 등의 오염 직물은 50~60도 정도의 건조기에 약 30분 이상 처리하여 방제합니다.

 

빈대 예방법

 

빈대 퇴치 방제를 위해서 최대한 피부 노출을 하지 마시고 빈대를 발견한 곳을 청소기로 돌리고 난 후에 구석까지 꼼꼼하게 스팀 청소기로 분사를 해야 합니다. 스팀 청소기가 없으면 급한 대로 헤어 드라이기 뜨거운 바람으로 분사하는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침대보나 오염된 옷 등은 건조기나 다림질을 이용해서 열처리하는 것도 빈대 퇴치하는 하나의 방법입니다.

 

빈대 발생이 심해서 방제가 어려울 경우에는 하루라도 빨리 방제 전문업체에 의뢰하시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빈대란?

빈대

 

빈대는 납작하고 1~6mm 크기로 갈색을 띠며 피를 흡혈하여 생명을 유지하는 불쾌한 곤충으로 전 세계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감염병을 옮기지는 않고 낮에는 침대나 가구, 벽 틈새 등에 숨어 지내다가 사람이 잠자는 동안에 노출되어 있는 피부를 물어 붉은 반점이나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빈대는 매우 날씬하게 생겼으며 편평한 몸체 때문에 작은 틈새나 공간에도 잘 들어가고 피를 먹지 않고도 장기간 동안에도 그 자리에 머물 수 있고 야간 활동성으로 인해 저녁보다 이른 새벽 3~4시에 흡혈 활동을 한다.

 

빈대 특징

 

빈대는 약 10분 동안에 빈대 무게의 2.5~6배의 피를 흡혈하고 섭취한 피의 수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내보내는 반 액체성분의 배설물은 특유의 냄새가 난다.

 

 

 

 

 

반응형